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여기는 옥포성당 홈피의 가톨릭 성경 이어쓰기 방입니다. │ 2010.06.13. 이어쓰기 시작 │구약성경 창세기부터 신약성경 요한의 묵시록등 73권 전권을 이어쓰기 1회 완료후 현재 이어쓰기 2회 진행중으로 신약성경 27권 완료후 구약성경 진행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데살로니카 전후서는 어떤 책인가요?

데살로니카는 어디에 있나요?

데살로니카서는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데살로니카는 에게해 북서쪽 해변에 위치해 있는 도시에요. 기원전 316-315년경에 새로 도시를 건설하면서, 알렉산더 대왕의 누이이며 필립의 딸이자 카산더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어요.

누가 썼나요?

데살로니카 전서와 후서는 모두 사도 바오로와 실바노와 디모테오가 공동으로 편지를 띄웠다는 기록을 편지 첫머리(1데살 1,1; 2데살 1,1)에 명확히 밝히고 있어요. 그렇지만 두 편지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문체와 종말에 대한 생각이 달라요. 학자들 중에는 편지를 받는 데살로니카 교회의 상황이 그만큼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면서 사도 바오로가 두 편지를 모두 썼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데살로니카 전서는 사도 바오로의 친서이지만, 데살로니카 후서는 사도 바오로의 제자가 후대에 썼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언제 썼나요?

데살로니카 전·후서 모두 사도 바오로가 썼다면, 제2차 전도여행(50-52년경) 중에 고린토에 머무를 때에 집필되었을 거에요. 전서의 집필연대는 50-51년경, 후서의 집필연대는 52년경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렇지만 데살로니카 후서를 후대에 사도 바오로의 제자가 썼다면 약 1세기 말경에 집필되었을 거에요. 어찌 되었든 간에 데살로니카 전서는 신약성서 중에서 가장 먼저 작성되었던 것이 분명한 만큼, 교회 안에서 특별한 사랑을 받고 있지요. 교회 신도들에게 올곧은 신앙을 심어주려고 애썼던 사도 바오로의 애정과 사랑을 듬뿍 느낄 수 있거든요.

왜 썼나요?

사도 바오로는 필립비에 교회를 세우고 추방당한(사도 16,11-40) 뒤 데살로니카로 가서 복음을 선포했지만, 유다인들의 방해로 또 쫓겨나는 불운을 겪게 됩니다. 이런 사건을 연달아 겪으면서 사도 바오로는 데살로니카 신도들이 환난 중에 흔들리지나 않을까 염려되어 디모테오를 보냅니다(1데살 2,3,1-5). 이어 디모테오로부터 데살로니카 신도들이 굳건히 신앙생활을 계속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는, 종말을 넘어선 희망과 믿음을 가질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데살로니카 전서를 띄워요.

데살로니카 후서가 1세기경에 쓰여졌다면, 종말이 임박했다고 믿는 분위기가 팽배해짐으로 말미암아 아무 일도 안하면서 공동체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람들을 경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을 거에요. 주님의 재림 전에는 배교하는 사태와 불법의 사람이 나타난다는 것을 일깨워 주고는 그 날이 오기까지는 현세의 생활에 열심히 일하며 충실하게 살 것을 당부하고자 해요.

<새김과 나눔>

데살로니카 신도들은 종말에 관한 가르침을 잘못 이해함으로써,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킵니다. 우리 시대에는 종말이 다가왔다고 주장하는 이들로 말미암아 어떤 일들이 벌어지나요?


 


성경 이어쓰기

매일 성경이어쓰기로 은총과 축복 많이 받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사야 이사야는 어떤 성서인가요? 옥포성당 2024.02.02 1921
공지 에스테르기 에스델서는 어떤 성서인가요? 옥포성당 2018.07.21 13792
공지 성경쓰기 시작하실 때 제목은 분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옥포성당 2018.02.15 13825
공지 위대한 기적미사의 신비 옥포성당 2017.02.12 20075
5593 역대기 하권 21장1절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9 120
5592 역대기 하권 20장31절~37절 여호사팟의 통치가 끝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6 104
5591 역대기 하권 20장1절~30절 여호사팟이 암몬과 싸워 이기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6 95
5590 역대기 하권 19장4절~11절 여호사팟의 개혁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1 176
5589 역대기 하권 19장1절~3절 예후 선견자가 여호사팟을 비판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1 101
5588 역대기 하권 18장28절~34절 이스라엘 임금이 라못 길앗에서 전사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0 91
5587 역대기 하권 18장12절~27절 미카야가 아합의 패전을 예언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0 93
5586 역대기 하권 18장1절~11절 이스라엘 임금 아합이 라못 길앗 탈환을 꾀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10 141
5585 역대기 하권 17장10절~19절 여호사팟의 업적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4 102
5584 역대기 하권 17장1절9절 여호사팟이 유다의 임금이 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4 148
5583 역대기 하권 16장11절~14절 아사가 죽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2 99
5582 역대기 하권 16장7절~10절 하나니 선견자의 예언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2 166
5581 역대기 하권 16장 1절~6절 아사가 아람의 도움을 청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2 109
5580 역대기 하권 15장1절~19절 아사의 개혁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2 104
5579 역대기 하권 14장1절~14절 아사의 유다 통치 김정현비비안나 2019.10.02 71
5578 역대기 하권 13장1절~23절 아비야의 유다 통치 김정현비비안나 2019.09.28 165
5577 역대기 하권 12장13절~16절 르하브암의 유다 정치 김정현비비안나 2019.09.27 175
5576 역대기 하권 12장1절~12절 이집트 임금 시삭이 유다를 침략하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09.27 72
5575 역대기 하권 11장18절~23절 르하브암의 가족 김정현비비안나 2019.09.26 168
5574 역대기 하권 11장13절~17절 사제들과 레위인들이 르하브암에게 오다 김정현비비안나 2019.09.26 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319 Next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