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입춘

조회 수 21 추천 수 0 2019.01.31 23:00:39
일정시작 : 2019-02-04 (월) 

정의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내용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입춘이 되면 도시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축을 달리 춘축(春祝)·입춘서(立春書)·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입춘축은 글씨를 쓸 줄 아는 사람은 자기가 붙이고, 글씨를 쓸 줄 모르는 사람은 남에게 부탁하여 써서 붙인다.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면 좋다고 하여 밤중에 붙이기도 하지만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는 써 붙이지 않는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 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내외,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외에 한지를 마름모꼴로 세워 ‘용(龍)’자와 ‘호(虎)’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한다.

입춘축은 대개 정해져 있으며 두루 쓰는 것은 다음과 같이 대구(對句)·대련(對聯)·단첩(單帖, 단구로 된 첩자)으로 되어 있다. 입춘날 붙이는 대구를 보면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기주오복 화봉삼축(箕疇五福 華封三祝)’, ‘문신호령 가금불상(門神戶靈 呵噤不祥)’, ‘우순풍조 시화년풍(雨順風調 時和年豊)’ 등이며, 대련을 보면 ‘거천재 내백복(去千災 來百福)’,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요지일월 순지건곤(堯之日月 舜之乾坤)’,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開門萬福來 掃地黃金出)’, ‘계명신세덕 견폐구년재(鷄鳴新歲德 犬吠舊年災)’ 등이다. 단첩으로는 ‘상유호조상화명(上有好鳥相和鳴)’, ‘일진고명만제도(一振高名滿帝都)’, ‘일춘화기만문미(一春和氣滿門楣)’, ‘춘광선도길인가(春光先到吉人家)’, ‘춘도문전증부귀(春到門前增富貴)’ 등을 붙인다. 입춘축은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다르다. 큰방 문 위의 벽, 마루의 양쪽 기둥, 부엌의 두 문짝, 곳간의 두 문짝, 외양간의 문짝에 붙이는 입춘축은 각기 다르다.

옛날 대궐에서는 입춘이 되면 내전 기둥과 난관에 문신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 좋은 것을 뽑아 연잎과 연꽃 무늬를 그린 종이에 써서 붙였는데, 이를 춘첩자(春帖子)라 하였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 의하면, 입춘이 되기 열흘 전에 “승정원에서는 초계문신(抄啓文臣, 당하문관 중에서 문학에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뽑아서 다달이 강독·제술의 시험을 보게 하던 사람)과 시종신(侍從臣)에게 궁전의 춘첩자를 지어 올리게 하는데, 패(牌)로써 제학(提學)을 불러 운(韻)자를 내고 채점하도록 한다.” 하였다. 춘련을 써서 붙이게 된 유래는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입춘날에는 의춘(宜春) 두 자를 써서 문에다 붙인다”고 하였으니 지금의 춘련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하였다. 입춘날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주사(朱砂)로 벽사문(辟邪文)을 써서 대궐 안으로 올리면 대궐 안에서는 그것을 문설주에 붙이는데, 이를 입춘부(立春符)라 한다. 입춘부의 글 내용은 후한(後漢) 때 계동대나의(季冬大儺儀)에 진자(侲子, 아이 초라니)가 화답하던 말이니, 곧 “갑작은 흉한 것을 잡아먹고 필위는 호랑이를 잡아먹고 웅백은 귀신을 잡아먹고 등간은 상서롭지 못한 것을 잡아먹고 남제는 재앙[咎]을 잡아먹고 백기는 꿈을 잡아먹고 강양과 조명은 함께 책사와 기생을 잡아먹고 위수는 관을 잡아먹고 착단은 큰 것을 잡아먹고 궁기와 등근은 함께 뱃속 벌레를 잡아먹는다. 대저 열두 신을 부려 흉악한 악귀들을 내쫓고 너의 몸을 으르고 너의 간과 뼈를 빼앗고 너의 살을 도려내고 너의 폐장을 꺼내게 할 것이니, 네가 빨리 달아나지 않으면 열두 신들의 밥이 되리라. 빨리 빨리 법대로 하렸다(甲作食凶 胇胃食虎 雄伯食魅 騰簡食不祥 覽諸食咎 伯奇食夢 强梁祖明共食磔死寄生 委隨食觀 錯斷食巨 窮奇騰根共食蠱 凡使十二神 追惡鬼凶 赫汝軀 拉汝肝節 解汝肌肉 抽汝肺腸 汝不急去 後者爲粮 急急如律令).”이다.

 
엮인글 :
June 201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Date
Schedule
Note
천주당 성모신심 미사는 본당 장례미사 관계로 다음주로 연기되었습니다. ================== ● 부고 ● 고인: 서성룡(루치오.39세) 심정지로 돌연사 빈소: 대우병뭔 장례식장 2호실 출관: 6월1일 08시50분 장례미사: 6월1일(토요일)09시30분 장지: 거제시 추모...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임성섭(유스티노)신부님 영명축일

주님 승천 대축일/홍보주일 백남해(요한보스코)신부님께서 주일 교중미사중 특강을 해주십니다.

울뜨레야 교중미사 후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제대회

화요신앙강좌

소공동체장회의

여성연합회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기념일

  • 환경의날
  • 성시간 저녁미사에 이어서

    망종

    성체조배회

    꼬미시움

    단오

    우리농산물 생명특강~9(주일)

    마산교구 배기현 주교님 수품일

    그라츠자매교구의 날(2차헌금)

    성모회

  • 성령강림절
  •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 6.10기념일
  • 소공동체의 날

    소공동체 미사 (6구역미사)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청소년분과 회의

    제2꾸리아 저녁미사 후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기념일

    제1꾸리아 저녁미사후

    레지오 기사교육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인천교구 정신철 주교 수품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화요신앙강좌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병자영성체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 기념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첫영성체자 세례식/ 첫고해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첫영성체 교중미사 중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남북통일 기원 미사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 주간 (6/17 월 ~ 25일 화요일)

  • 6.25사변일
  •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 / 사제 성화의 날

    은빛 성경대학 종강

    은혜의 밤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연중 제13주일 / 교황주일(2차헌금)

    본당의 날 행사 성지순례 (솔뫼성지 합덕성당) 7월 1일 본당 설립 36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