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백로

조회 수 8 추천 수 0 2019.08.28 23:45:50
일정시작 : 2019-09-08 (일) 

정의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백로()는 양력 9월 8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들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이다.

내용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로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로 나누어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에는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한다.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하지만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한다. 백로 다음에 오는 중추는 서리가 내리는 시기이다. 전남에서는 백로 전에 서리가 내리면 시절이 좋지 않다고 한다. 볏논의 나락은 늦어도 백로가 되기 전에 여물어야 한다. 벼는 늦어도 백로 전에 패어야 하는데 서리가 내리면 찬바람이 불어 벼의 수확량이 줄어든다. 백로가 지나서 여문 나락은 결실하기 어렵다.
제주도 속담에 “백로전미발()”이라고 해서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고 전한다. 또한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농작물이 시들고 말라버리는 것으로 생각한다. 충남에서는 늦게 벼를 심었다면 백로 이전에 이삭이 패어야 그 벼를 먹을 수 있고, 백로가 지나도록 이삭이 패지 않으면 그 나락은 먹을 수 없다고 믿는다. 경남에서는 백로 전에 패는 벼는 잘 익고 그 후에 패는 것은 쭉정이가 된다고 알고 있으며, 백로에 벼 이삭을 유심히 살펴서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하기도 한다.
농가에서는 백로 전후에 부는 바람을 유심히 관찰하여 풍흉을 점친다. 이때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해가 많다고 여기며, 비록 나락이 여물지라도 색깔이 검게 된다고 한다.
백로는 대개 음력 8월 초순에 들지만 간혹 7월 말에 들기도 한다. 7월에 든 백로는 계절이 빨라 참외나 오이가 잘 된다고 한다. 한편 8월 백로에 비가 오면 대풍이라고 생각한다. 경남 섬지방에서는 “8월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린다.”라는 말이 전하면서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생각한다. 또 백로 무렵이면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를 시작하고, 고된 여름농사를 다 짓고 추수할 때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므로 부녀자들은 근친을 가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로 [白露] (한국세시풍속사전)

 

 

엮인글 :
August 201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Date
Schedule
Note
오전 11시 30분 세례식

성체현시와 성체강복 성시간 - 저녁미사에 이어서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 기념일

금육

천주당 성모신심미사 - 오전 10시 00분

연중 제18주일

울뜨레야 교중미사 후

제대회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김도밍가 수녀님 영명축일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인데,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 때이다.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들어 있으며,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

꼬미시움 저녁미사후

초등부 복사단 물놀이

금육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 축일

연중 제19주일

성모회 교중미사 후

말복

성체조배실 개소

제2꾸리아

일본군 &#39;위안부&#39; 피해자 기림의 날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 기념일

성모 승천 대축일 미사

제주 문창우 주교 수품 기념일

병자영성체

제1꾸리아

금육

서울 구요비 주교 수품일

연중 제20주일

성소육성/군종후원회비 접수

광주 김희중 대주교 주교 수품일

대전 유흥식 주교 수품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 기념일

청소년분과회의

성 비오 10세 교황 기념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은혜의밤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처서(處暑)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태양이 황경 150도에 달한 시점으로 양력 8월 23일 무렵, 음력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든다.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금육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나길모 주교 수품일

청주 정봉훈 주교 수품일

연중 제21주일

사목평의회 교중미사 후

성녀 모니카 기념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기념일

서울 손희승 주교 수품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금육

주일학교 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