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칼럼 : 본당 주임신부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느님 탓도 당신 탓도 아닙니다..jpg

 

 

 

오늘의 말씀과 묵상. 연중 제29주간 토요일(10/26/2019)

 

<1독서>

 

사도 바오로의 로마서 말씀입니다. 8,1-11

 

형제 여러분, 이제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있는 이들은 단죄를 받을 일이 없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생명을 주시는 성령의 법이 그대를 죄와 죽음의 법에서 해방시켜 주었기 때문입니다. 율법이 육으로 말미암아 나약해져 이룰 수 없던 것을 하느님께서 이루셨습니다. 곧 당신의 친아드님을 죄 많은 육의 모습을 지닌 속죄 제물로 보내시어 그 육 안에서 죄를 처단하셨습니다. 이는 육이 아니라 성령에 따라 살아가는 우리 안에서, 율법이 요구하는 바가 채워지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무릇 육을 따르는 자들은 육에 속한 것을 생각하고, 성령을 따르는 이들은 성령에 속한 것을 생각합니다. 육의 관심사는 죽음이고 성령의 관심사는 생명과 평화입니다. 육의 관심사는 하느님을 적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것은 하느님의 법에 복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종할 수도 없습니다. 육 안에 있는 자들은 하느님 마음에 들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영이 여러분 안에 사시기만 하면, 여러분은 육 안에 있지 않고 성령 안에 있게 됩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영을 모시고 있지 않으면, 그는 그리스도께 속한 사람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여러분 안에 계시면, 몸은 비록 죄 때문에 죽은 것이 되지만, 의로움 때문에 성령께서 여러분의 생명이 되어 주십니다.

예수님을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일으키신 분의 영께서 여러분 안에 사시면, 그리스도를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일으키신 분께서 여러분 안에 사시는 당신의 영을 통하여 여러분의 죽을 몸도 다시 살리실 것입니다.

 

<복음>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1-9

 

그때에 어떤 사람들이 와서, 빌라도가 갈릴래아 사람들을 죽여 그들이 바치려던 제물을 피로 물들게 한 일을 예수님께 알렸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그 갈릴래아 사람들이 그러한 변을 당하였다고 해서 다른 모든 갈릴래아 사람보다 더 큰 죄인이라고 생각하느냐?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처럼 멸망할 것이다.

또 실로암에 있던 탑이 무너지면서 깔려 죽은 그 열여덟 사람, 너희는 그들이 예루살렘에 사는 다른 모든 사람보다 더 큰 잘못을 하였다고 생각하느냐?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렇게 멸망할 것이다.”

예수님께서 이러한 비유를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자기 포도밭에 무화과나무 한 그루를 심어 놓았다. 그리고 나중에 가서 그 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았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였다. 그래서 포도 재배인에게 일렀다. ‘보게, 내가 삼 년째 와서 이 무화과나무에 열매가 달렸나 하고 찾아보지만 하나도 찾지 못하네. 그러니 이것을 잘라 버리게. 땅만 버릴 이유가 없지 않은가?’ 그러자 포도 재배인이 그에게 대답하였다. 주인님, 이 나무를 올해만 그냥 두시지요. 그동안에 제가 그 둘레를 파서 거름을 주겠습니다. 그러면 내년에는 열매를 맺겠지요. 그러지 않으면 잘라 버리십시오.’”

 

<오늘의 묵상>

 

하느님은 할만큼 하셨습니다.

하느님께 핑계대지 맙시다.

열매 맺지 못하는 것은 하느님의 탓이 아닙니다.

이유가 내게 혹은 우리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은 억울하십니다.

네 덕, 내 탓입니다.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이로소이다.”

하느님은 할만큼 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 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요한 3, 16)

정말로

하느님은 할만큼 하셨습니다.

 

  • ?
    옥포성당 2019.10.26 18:24 (*.248.77.237)
    평화를빕니다.
    ㅡ김현숙 로사 ㅡ

    제 탓이옵니다
    ㅡ 채외숙 에밀리아나 ㅡ

    아멘~
    ㅡ 이재임 마리아 ㅡ

    감사합니다
    ㅡ 김화식 프란치스코 ㅡ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멘~^^♡
    ㅡ 김도현 ㅡ

    이모티콘 이미지
    ㅡ 로사 의정부교구 ㅡ
    ㅡ 권영철 아우구스티노 장승포성당 ㅡ

    아멘!!!
    감사합니다.
    ㅡ 김영순 아가페 ㅡ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9 오늘의 묵상. 연중 제21주간 월요일(08/26/2019) 3 file 김정훈 2019.08.26 354
338 오늘의 묵상. 연중 제22주간 수요일(09/04/2019) 2 file 김정훈 2019.09.04 353
337 이솝우화 – 포도밭의 보물에서 김정훈 2017.08.05 352
336 교적을 옮기고 싶은데 어쩌죠? -박종인 요한 신부 김정훈 2018.07.27 352
335 오늘의 묵상. 연중 제22주일(09/01/2019) 3 file 김정훈 2019.09.01 352
334 오늘의 묵상. 성녀 모니카 기념일(08/27/2019) 3 file 김정훈 2019.08.27 351
333 오늘의 묵상.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 기념일(09/03/2019) 2 file 김정훈 2019.09.03 350
332 연중 제29주일 주임신부님 강론 2022.10.16 file 옥포성당 2022.11.26 342
331 오늘의 묵상. 연중 제11주간 토요일(06/22/2019) file 김정훈 2019.06.22 342
330 오늘의 묵상.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08/24/2019) 2 file 김정훈 2019.08.24 339
329 오늘의 묵상. 연중 제22주간 월요일(09/02/2019) 2 file 김정훈 2019.09.02 338
328 송년시 공모 및 올해 10대 뉴스 선정 2 백남해 요한보스코 주임신부 2016.12.05 335
327 결혼 1 백남해 요한보스코 주임신부 2017.01.07 335
326 “우리를 위해서도 기도해 주십시오.” 3 김정훈 2017.01.20 335
325 오늘의 묵상. 연중 제22주간 토요일(09/07/2019) 1 file 김정훈 2019.09.07 335
324 오늘의 말씀과 묵상.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12/27/2019) 1 file 김정훈 2019.12.27 333
323 2016년 11월 14일 월요일 아침미사 복음과 강론 1 백남해 요한보스코 주임신부 2016.11.17 331
322 오늘의 묵상. 연중 제20주간 금요일(08/23/2019) 2 file 김정훈 2019.08.23 329
321 오늘의 묵상. 연중 제21주간 토요일(08/31/2019) 2 file 김정훈 2019.08.31 328
320 신부님. 이혼한 사람이 영성체를 해도 되나요? 1 김정훈 2017.03.02 3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